둘러보기 메뉴
검색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읽기
대탈출위키 소개
의견 나누기
사랑방
도움 받기
질문방
문법
연습장
관리하기
관리 요청
이름공간
문서
토론
최면 편집하기
TOOLBOX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더 보기
보기
보기
편집
역사
[[틀:편집 안내/묶음/
틀:FULLROOTPAGENAME
|묶음 안내]]
문서 안내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아이피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파일:20210928WikimediaCommons.jpg]] '''최면''' 또는 '''최면 상태'''(催眠, Hypnosis, 그리스어의 ''hypnos''(잠)에서 온 말임)는 한 사람이 잠을 자고 있는 것처럼 정신이 몽롱한 상태에서, 그를 그 상태로 만든 사람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 상황으로 이해되었다. 이렇게 최면이 잠에 빠진 상태로 이해 되었던 이유는 최면이라는 단어가 '잠자다'는 어원에서 나왔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최면상태에 들어간 사람이 잠자는 듯이 보이기도 했고, 누군가 지시하면 그 사람의 지시에 따라 그대로 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심리학회(APA)에서는 최면이 '암시(suggestion)에 반응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지엽적인 것들에 대한 의식은 감소하고, 초점화된 집중력을 누리는 의식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최면현상에서 암시는 중요한 요소로 19세기 동안에는 주로 암시기법에 의존해서 치료결과를 얻고자 했다. 최면은 화학적 마취제가 개발되기 전 주로 외과수술을 위한 통증 제어 수단으로 사용되다가 프로이드가 히스테리 치료를 위해 어린시절 트라우마를 다루는 수단으로 사용했다. 최면은 새계대전이 발발하면서, 포탄쇼크(shell shock)라고 알려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해결에 효과를 보이면서 치료기법으로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1960년대 들어와서는 인지적 무의식적 정보처리에 대한 관심으로 최면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로는 의학과 심리학 뿐만 아니라 인지적 신경과학 영역에서 최면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면은 심리치료의 효과를 촉진해주는 장점이 많이 있지만 최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오해들로 인해 심리치료 장면에서 최면의 활용이 주저되곤 한다. 최면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로는 최면암시를 거부할 수 없고 조종당한다거나 최면이 잠자는 상태와 같아서 피험자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다는 두려움 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최면 피험자들은 최면상태가 잠자는 상태가 아니라 몰입 상태였다고 보고하였으며, 피험자가 원하지 않는 암시들은 거부할 수 있다. 최면은 혼수상태와 같이 정신을 잃는 것과는 다르다. 자신이 원하지 않을 경우 최면상태에 들어가지지 않는다. 그리고 최면상태에 들어가 있다 하더라도 밝히고 싶지 않은 비밀은 말하지 않을 수 있다. == 최면치료 == 심인적 증상에 대한 정서적 경험을 회상해냄으로써 이를 이해하고 나아가 도울 수 있는 방법으로서 최면이 사용되기도 한다. == 대탈출에서. == [[파일:20210927tving2.png]] [[파일:20210927tving12.png]] [[파일:20210927tving13.png]] [[하늘에 쉼터]]에서 최면은 2가지 용도로 사용되었다. 첫째는 아이들을 세뇌하기 위한 방식으로, 회당에서 자신을 찬양하는 기도문을 외울 때 벽에 파란색 불빛이 나오는 회종시계를 옆으로 흔드는 방식으로 사용했고, 두번째는 고백의 방에서 강석구가 은미리가 [[대박사건24시]] PD에게 제보하고 전화번호는 천수호가 알려줬다는 것을 제보할때 사용했다. 다만 [[하늘에 쉼터]]는 사이비 종교가 아니라 [[백사회]]의 생체 실험실이라는 것을 기억해 두자. {{출처|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B5%9C%EB%A9%B4&oldid=29270010}}
요약:
변경 사항을 저장하게 되면
대탈출위키의 이용 약관
과
개인정보처리방침
에 동의하고
CC BY-SA 4.0
에 따라 이 기여를 배포하는 데 동의함을 뜻하며,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만약 동의하지 않는다면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누르지 말아주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Fmbox
(
원본 보기
) (보호됨)
틀:출처
(
원본 보기
) (준보호됨)